반응형
파이썬의 주요 자료형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.
1. 숫자형 (Numeric)
파이썬에서 숫자형은 정수형(int), 실수형(float), 복소수형(complex)으로 구분됩니다.
a = 10 # int
b = 3.14 # float
c = 3 + 4j # complex
2. 문자열 (String)
문자열은 문자들의 시퀀스입니다.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(')나 큰 따옴표(")로 감싸서 정의할 수 있습니다.
str1 = 'Hello, World!'
str2 = "안녕하세요"
3. 불리언 (Boolean)
불리언은 참(True)과 거짓(False)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x = True
y = False
4. 리스트 (List)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, 대괄호([])로 감싸서 정의합니다.
lst = [1, 2, 3, 4, 5]
5. 튜플 (Tuple)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, 한 번 정의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. 소괄호(())로 감싸서 정의합니다.
tpl = (1, 2, 3, 4, 5)
6. 세트 (Set) 세트는 중복되지 않은 데이터의 집합으로, 중괄호({})로 감싸서 정의합니다.
st = {1, 2, 3, 4, 5}
7. 딕셔너리 (Dictionary) 딕셔너리는 키(key)와 값(value)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으로, 중괄호({})로 감싸서 정의합니다.
dic = {'name': 'John', 'age': 30, 'city': 'New York'}
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자료형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Programing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의 조건문 (1) | 2023.02.26 |
---|---|
파이썬의 연산자 (2) | 2023.02.26 |
파이썬 변수(Variable) (0) | 2023.02.26 |
파이썬 개발환경 설정을 위해 필요한 항목들에 대해서 (0) | 2023.02.26 |
파이썬 커리큘럼 (0) | 2023.0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