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고양이를 원하는 시간 만큼 달리게 하고 달리기가 끝나는 순간 이벤트를 발생하고 싶다고 가정해 보죠.
고양이 class를 만들고 Run이라는 Method를 만든 다음에 인자로 시간을 넘겨서 그 시간만큼 for loop 를 돌게 구현 했습니다.
자 이제 for loop 이 끝나는 순간 event를 발생시켜 줍니다.
event만 발생시키는 것은 심심하니 결과 값을 전달해 줍시다.
이제 고양이 class를 사용할 곳에서 인스턴스를 만들고 이벤트 함수를 등록해 줍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|
using System;
namespace DelegateTest
{
public class Cat
{
public delegate void EndRunEventHandler(string result);
public event EndRunEventHandler EndRunEvent;
public void Run(int time)
{
for(int i = 0; i < time; i++)
{
Console.WriteLine("cat running..." + i);
}
EndRunEvent.Invoke($"result : {time}");
}
}
class Program
{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Cat cat = new Cat();
cat.EndRunEvent += Cat_EndRunEvent;
cat.Run(100);
Console.ReadLine();
}
private static void Cat_EndRunEvent(string result)
{
Console.WriteLine(result);
}
}
}
|
cs |
실행된 결과를 확인해 볼까요.

해당 코드의 소스는 다음 링크에 있습니다.
반응형
'Programing > 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 while의 활용 법 featuring ReadAsStreamAsync(비동기 스트림) (0) | 2020.02.18 |
---|---|
double vs decimal (0) | 2020.02.11 |
c# reflection 을 이용해서 assembly의 type과 method의 갯수 파악하기 (0) | 2020.02.11 |
Warning CS0114 로 보는 함수 오버라이딩 (0) | 2017.11.10 |
Class의 변수명 가져오기 (0) | 2015.01.08 |